EXIT

온라인예약신청

항상 최선을 다하는 SNU가 되겠습니다

온라인예약은 병원콜센터 확인전화 후 예약이 정상완료됩니다.

'퍽'하는 소리와 함께 발이 안 움직여요! 아킬레스건파열 증상은? > 의학정보

ENG

의학정보

  • 발 · 발목통증 '퍽'하는 소리와 함께 발이 안 움직여요! 아킬레스건파열 증상은? 25.07.21 11:59 18
  • 737c778342764bd7107bea9829896893_1753066315_6004.jpg
     

    서울대 의대 졸업 의료진 8명을 포함한 총 18명의 의료진과 함께하는 강서구 SNU서울병원입니다.  




    1. “퍽” 하는 느낌과 함께 발을 딛기 어렵다면?
     

    갑작스럽게 발뒤꿈치에서 “끊어지는 느낌”이 들고, 걷거나 뛸 수 없을 정도의 통증이 발생했다면 아킬레스건파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운동 중 갑작스러운 동작 이후 통증과 함께 발을 땅에 제대로 디딜 수 없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아킬레스건은 우리 몸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받는 힘줄로, 

    손상 시 치료와 재활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부위이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빠른 처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2. 아킬레스건파열이란?
     

    아킬레스건은 종아리 근육과 발뒤꿈치를 연결하는 강한 힘줄로, 걷거나 뛸 때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아킬레스건파열은 이 힘줄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끊어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갑작스러운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하며, 운동선수뿐 아니라 중장년층의 일반인에게도 자주 발생합니다. 

    파열 즉시 발뒤꿈치 통증과 함께 걸음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많으며, 빠른 수술 혹은 보존적 치료 후 재활이 필요합니다.



     

    3. 아킬레스건파열의 원인
     

    ●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 또는 점프: 격렬한 운동 중 발생


    ● 준비운동 부족: 근육과 힘줄의 유연성 저하


    ● 중년 이후 노화로 인한 힘줄 약화: 40~50대 남성에게 흔함


    ● 반복적인 미세손상 누적: 과사용으로 인한 힘줄의 피로


    ● 스테로이드 주사나 플루오로퀴놀론계 항생제 사용: 힘줄 약화 유발


    ● 비만이나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하중 증가로 인한 스트레스




    4. 아킬레스건파열의 증상

    ● 발뒤꿈치에서 ‘퍽’ 하는 소리 또는 느낌


    ● 서거나 걷기 어려움


    ● 발끝으로 서기가 불가능함


    ● 심한 통증과 함께 부기 발생


    ● 손으로 눌러봤을 때 힘줄이 끊긴 느낌


    ● 파열 직후 통증이 심하지만 이후 통증이 감소할 수 있음




    5. 아킬레스건파열의 치료 방법

    치료는 파열의 정도와 환자의 연령, 활동 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수술적 치료는 파열된 아킬레스건을 봉합하여 회복을 돕는 방법으로,

    재파열 가능성을 줄이고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는 석고 고정이나 보조기를 이용해 자연 치유를 유도하는 방법으로, 고령자나 활동량이 적은 환자에게 적합합니다. 

    치료 후에는 반드시 재활운동과 물리치료가 병행되어야 하며, 무리한 활동은 피해야 합니다.




    6. 예방법 및 관리 방법

    아킬레스건파열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운동 전 충분한 스트레칭과 준비운동을 통해 힘줄의 유연성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중년 이후에는 갑작스러운 운동보다는 점진적인 강도의 운동을 권장합니다.

    또한 평소에 체중 관리, 올바른 신발 착용, 무리한 점프나 방향 전환을 피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통증이나 뻣뻣함이 반복된다면 조기에 병원을 방문하여 아킬레스건염 등 전조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아킬레스건파열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Q1. 아킬레스건이 끊어지면 바로 수술해야 하나요?

    A. 활동량이 많거나 스포츠를 자주 하는 경우 수술이 권장되며, 보존적 치료도 가능하지만 재파열 위험이 다소 높습니다.


    Q2. 파열 후 얼마나 회복에 걸리나요?

    A. 수술 후 약 6주~12주간의 고정 및 재활이 필요하며, 일반적인 일상 복귀는 3개월 내외, 스포츠 복귀는 6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Q3. 치료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A. 자연적으로 치유되기 어렵고, 발목 기능 저하와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