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정보
-
손 · 손목 · 팔 손가락이 굽은채로 펴지지 않아요! 듀피트렌 구축증 25.07.23 10:25 150
-
서울대 의대 졸업 의료진 8명을 포함한 총 18명의 의료진과 함께하는 강서구 SNU서울병원입니다.
1. 손가락이 굽어 펴지지 않는 이유? 듀피트렌 구측증 의심
손가락이 점점 굽은 채로 펴지지 않거나, 손바닥 밑에 단단한 멍울이 만져진다면 ‘듀피트렌 구축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단순한 결절로 시작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손가락의 움직임에 큰 제한을 주는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주로 50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유전적 요인이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질환은 진행성인 만큼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 듀피트렌 구축증의 전반적인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2. 듀피트렌 구축증이란?
듀피트렌 구축증은 손바닥 피부 아래에 있는 섬유조직(건막)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면서,
손가락이 점차 굽어 펴지지 않게 되는 질환입니다.
주로 네 번째, 다섯 번째 손가락에 잘 발생하며, 통증은 거의 없지만 손 기능에 큰 불편을 유발합니다.
질환이 진행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듀피트렌 구측증 원인
● 유전적 요인: 가족력 있는 경우 발병률 증가
● 나이: 50세 이상에서 유병률 높음
● 성별: 남성에게서 더 흔하게 발생
● 음주와 흡연: 혈관 및 결합조직 변화 유발
● 당뇨병: 대사 질환과 연관
● 외상 병력: 손 부위 반복 손상 또는 자극
4. 듀피트렌 구측증 증상
● 손바닥 멍울: 초기에는 손바닥 아래 작은 결절이 느껴짐
● 피부 함몰: 건막이 위축되며 피부가 끌려 들어가는 모양
● 손가락 굴곡: 점차 손가락이 굽으며 펴지지 않음
● 무통증 진행: 통증 없이 진행되므로 초기에 간과하기 쉬움
● 손기능 제한: 그립(쥐는 동작)이나 세세한 작업에 장애
● 양측성 발생 가능: 두 손에 모두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
5. 듀피트렌 구측증 치료 방법
경과 관찰이 가능한 초기에는 손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치료가 필요합니다.
● 주사 요법: 콜라게나제 주사로 섬유 조직을 약화시켜 손가락을 펴는 방법
● 물리치료: 굳은 부위를 풀어주고 유연성 향상
● 수술적 절제술: 구축된 조직을 제거하여 손가락을 다시 펼 수 있도록 함
● 수술 후 재활: 손가락의 운동 범위를 회복하고 재발 방지를 위해 시행
6. 듀피트렌 구측증 예방법
듀피트렌 구축증은 명확한 예방법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아래와 같은 생활습관 개선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손바닥에 반복적인 자극을 피하고, 외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당뇨병, 음주 등 관련 위험 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손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한 스트레칭과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 듀피트렌 구측증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Q. 듀피트렌 구축증은 통증이 없는데 꼭 치료해야 하나요?
A. 통증은 없지만 손가락이 펴지지 않아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므로, 기능 제한이 생긴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Q. 수술 후 재발률이 높은가요?
A. 재발률이 20~30%로 보고되며, 지속적인 스트레칭과 재활이 중요합니다.
Q. 모든 사람에게 수술이 필요한가요?
A. 아닙니다. 경미한 경우는 경과 관찰만으로 충분하며, 진행 속도와 기능 장애 정도에 따라 치료 여부를 결정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