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정보
-
목 · 허리 내시경술 척추관이 좁아지면 생기는 증상? 척추관협착증 신호일 수 있습니다 25.07.24 09:46 163
-
서울대 의대 졸업 의료진 8명을 포함한 총 18명의 의료진과 함께하는 강서구 SNU서울병원입니다.
1. 척추관협착증, 단순한 허리통증이 아닙니다.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저리다면, 단순한 근육통이나 디스크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중장년층에서 흔히 나타나는 척추관협착증은 단순한 통증이 아니라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심각한 질환일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보행에 문제가 생긴다면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2. 척추관협착증이란?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속을 지나는 신경의 통로(척추관)가 좁아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허리(요추) 부위에서 발생하며, 신경이 눌려 다리 통증, 저림, 보행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 이상에서 퇴행성 변화로 인해 많이 발생하는 대표적인 척추질환 중 하나입니다.
3. 척추관협착증의 원인
● 디스크 퇴행 – 나이가 들면서 디스크가 탈수되고 납작해지며 신경 공간이 좁아짐
● 후관절 비대 – 척추 뒷부분의 관절이 비대해지며 신경을 누름
● 인대 비후 – 황색인대 등의 비후로 인해 척추관이 좁아짐
● 추간판 탈출 – 디스크가 터져서 신경을 압박
● 외상 또는 수술 후 변화 – 과거 척추수술 또는 외상으로 인한 구조적 협착
4. 척추관협착증의 주요 증상
허리 통증 외에도 다리로 퍼지는 통증과 저림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특히 앉으면 괜찮고 오래 걸으면 다시 아픈 간헐적 파행이 특징입니다.
점차 보행거리가 줄어들고, 심한 경우 대소변 장애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척추관협착증 치료 방법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로 증상 완화를 시도합니다.
● 약물치료 – 신경 염증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약물 처방
● 물리치료·도수치료 – 근육 이완 및 통증 완화를 위한 치료
● 신경차단주사 – 염증을 가라앉히고 신경 압박을 완화
● 체외충격파 치료 – 국소 염증과 통증 완화에 도움
● 수술적 치료 – 심한 협착으로 보존적 치료가 듣지 않을 경우, 척추 유합술이나 감압술 시행
6. 척추관협착증 예방법
● 자세 교정 – 장시간 앉을 때 허리를 곧게 세우는 습관 유지
● 규칙적인 운동 – 척추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걷기, 수영, 필라테스 등 권장
● 무리한 동작 자제 – 무거운 물건 들기, 허리 비트는 동작은 피하기
● 체중 관리 – 과체중은 척추에 부담을 주어 협착증 위험을 높임
❓ 자주 묻는 질문 (FAQ) - 척추관협착증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Q. 척추관협착증과 디스크는 어떻게 다른가요?
A. 디스크는 추간판이 탈출하여 신경을 누르는 것이고, 협착증은 척추관 자체가 좁아지며 신경을 압박하는 것입니다. 증상은 비슷할 수 있지만 원인은 다릅니다.
Q. 협착증은 수술을 꼭 해야 하나요?
A. 대부분의 협착증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다만, 보행이 어렵거나 대소변 장애가 있을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합니다.
Q. 걷는 것이 도움이 되나요?
A. 초기 협착증은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꾸준히 걷는 것이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단, 통증이 심하면 휴식이 필요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